2025년 주거급여 지급 기준과 금액표 총정리

“2025년 주거급여 지급 기준 얼마 받을 수 있을까? 중위소득 기준과 가구별 지급 금액표, 실제 사례까지 총정리합니다. 신청 전 필수 확인!”
2025년 주거급여 지급 기준이 어떻게 달라졌는지, 가구 수별 금액표는 어떻게 구성되는지 정리했습니다. 주거급여 신청 전 필수 확인사항을 알려드립니다.
주거급여를 신청하려고 하는데, 내가 과연 받을 수 있을까? 매년 바뀌는 중위소득 기준과 함께 지원 금액도 조금씩 조정됩니다. 특히 2025년에는 물가상승률과 연계한 기준 조정이 이루어져, 작년과는 또 다른 지급 기준이 적용되고 있어요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주거급여 지급 기준, 가구 수별 소득 기준, 실제 지원 금액표까지 꼼꼼히 총정리해드립니다. 특히 이 글은 이전에 소개한 “주거급여 이사비 지원” 글과 함께 보면 이해가 더 쉬워요.
주거급여란?
주거급여는 기준 중위소득 이하의 가구가 주거비 부담을 덜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부 복지제도입니다.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지원되며:
- 임차급여: 월세를 지원 (임대차계약자 대상)
- 자가급여: 노후주택 수선비용 지원 (자가소유자 대상)
여기에 부가적으로 이사비 지원 같은 특수급여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.
2025년 주거급여 지급 기준 중위소득표
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지난해 대비 평균 3.8% 인상되었습니다. 아래는 가구 수별 기준 중위소득입니다:
가구원 수 | 기준 중위소득 (월) |
---|---|
1인 | 2,327,000원 |
2인 | 3,878,000원 |
3인 | 5,000,000원 |
4인 | 6,154,000원 |
5인 | 7,251,000원 |
6인 | 8,289,000원 |
주거급여 수급 가능 기준은 중위소득의 47% 이하입니다. 즉, 위 표의 각 수치에 0.47을 곱한 금액 이하면 신청 가능합니다.
주거급여 지급 금액표 (2025년 기준)
지역 구분 | 1인 가구 | 2인 가구 | 3인 가구 | 4인 가구 |
---|---|---|---|---|
1급지 (서울 등) | 320,000원 | 370,000원 | 460,000원 | 510,000원 |
2급지 (광역시) | 290,000원 | 340,000원 | 420,000원 | 470,000원 |
3급지 (중소도시) | 260,000원 | 310,000원 | 380,000원 | 420,000원 |
※ 실제 지급액은 계약된 월세, 보증금, 가구원 수, 지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주거급여 지급 금액 실제 수령 예시
✔ 서울 거주 2인 가구, 월세 40만 원, 보증금 500만 원 → 주거급여 약 370,000원 지급 가능
✔ 대구 3인 가구, 월세 45만 원, 보증금 300만 원 → 주거급여 약 420,000원 예상
주거급여는 단독가구와 다인가구, 지역별 차이까지 반영되므로 정확한 계산은 복지로 사이트에서 모의계산 기능을 활용해보세요.
신청 전 주의사항
- 본인 명의 임대차 계약서 필수
- 세대분리 후 주소지가 다르면 별도 신청 가능
- 일정 금액 이상의 자동차 보유 시 제외 가능성 있음
- 실제 지급 전 ‘소득인정액 심사’ 결과 따라 금액 조정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