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민연금과 기초연금 차이|2025년 기초연금 수급 기준과 얼마 초과하면 못 받는지 총정리
국민연금과 기초연금 차이를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.
2025년 기초연금 수급 기준과 단독가구·부부가구별 소득인정액, 그리고 얼마를 초과하면 기초연금을 못 받는지 확인해보세요.

노후 준비를 위해 꼭 알아야 할 제도가 바로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입니다.
이름은 비슷하지만 두 제도는 성격과 조건이 완전히 다릅니다.
특히 기초연금은 소득 기준을 초과하면 지급이 제한되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십니다.
오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의 차이와 함께, 2025년 기초연금 수급 기준과 얼마를 초과하면 받을 수 없는지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.
이 글에서는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의 차이, 그리고 2025년 기초연금 수급 기준을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.
📌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차이
구분 | 국민연금 | 기초연금 |
---|---|---|
제도 성격 | 본인이 납부한 보험료 기반의 사회보험 | 국가가 만 65세 이상 저소득 노인에게 지급하는 공적부조 |
가입/대상 | 만 18세~60세 국민 (소득 있는 자) | 만 65세 이상, 소득인정액 기준 이하 |
지급액 | 납부 기간·평균 소득에 따라 다름 | 최대 월 32만 3천 원 (2025년 단독가구 기준) |
재원 | 가입자 보험료 + 국가 지원 | 전액 국가 재정 |
관계 | 기초연금과 별개로 수급 가능. 다만 국민연금이 많으면 기초연금 감액될 수 있음 | 국민연금을 보완하는 성격, 저소득 노후 소득 보장 목적 |
📌 2025년 기초연금 수급 기준 (소득인정액 기준)
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되, 소득인정액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만 받을 수 있습니다.
- 단독가구: 월 2,220,000원 이하
- 부부가구: 월 3,540,000원 이하
👉 이 금액을 초과하면 기초연금을 일부 감액 받거나, 아예 수급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.
❓ 국민연금 많이 받으면 기초연금을 못 받나?
많은 분들이 “국민연금을 받으면 기초연금을 못 받는다”라고 생각하시는데, 이는 정확하지 않습니다.
국민연금과 기초연금 차이
- 국민연금 수령액이 많으면 소득인정액이 높아져 기초연금이 감액될 수 있음
- 그러나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은 대체 관계가 아니라 보완 관계
- 즉, 국민연금을 받아도 소득인정액 기준 이하라면 기초연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음
✅ 정리
- 국민연금: 내가 납부한 보험료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보험
- 기초연금: 만 65세 이상 저소득 노인에게 국가가 지급하는 연금
- 2025년 수급 기준: 단독가구 222만 원, 부부가구 354만 원 이하
- 국민연금 수령액이 많아 소득인정액 기준을 초과하면 기초연금 감액 또는 미수급 가능
- 매년 수급 기준은 달라지므로, 반드시 보건복지부 공지 확인 필요